연관질문

국가 > 국가, 지자체 > 공공계약
답변수 : 1 | 2021.07.28 질문 작성됨

조달발주 건설공사 (총액입찰) 유로폼을 합판거푸집으로 변경가능여부

물량내역서상 유로폼 물량으로 바닥물량까지 포함되어 있으나(수량산출서는 합판거푸집으로 됨) 현실적으로 시공이 불가능(통상 바닥거푸집은 합판거푸집으로 설계 시공)한 경우 설계변경 대상이 되는지 등 질의
국가 > 국가, 지자체 > 공공계약
답변수 : 1 | 2021.07.28 질문 작성됨

물가변동 시 신규단가 적용기준

물량이 증가되는 설계변경 이후 물가변동 시 계약단가가 적용된 증가된 물량은 기존비목 또는 신규비목 중 어느 비목으로 적용하여야 하는지
국가 > 국가, 지자체 > 선거
답변수 : 1 | 2020.03.23 질문 작성됨

투표일에 정상근무를 요구하는 것은 위법 아닌가요?

4월 15일 총선일 당일에 회사에서 정상근무를 하라고 하는데.. 이래도 되는 건가요?
교육,청소년 > 교육 > 학교
답변수 : 1 | 2020.08.07 질문 작성됨

교육공무원 호봉을 획정할 시 경력환산율표 유사경력 중에서 그밖의 경력으로 교육부장관이 인사혁신처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경력은 30퍼센트를 적용하는데, 미식축구 국가대표선수로 대한미식축구협회 소속이었다면, 30퍼센트를 적용하는 경력에 해당하나요?

교육공무원 호봉획정 시 경력환산율표 유사경력 중에서 그밖의 경력으로 교육부장관이 인사혁신처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경력으로 미식축구 국가대표선수로 대한미식축구협회 소속이었다면, 3할이 인정되나요?
교육,청소년 > 교육 > 학교
답변수 : 1 | 2020.08.07 질문 작성됨

교육공무원 호봉획정에 관한 최종 권한은 누구에게 있나요?

교육공무원 호봉을 획정할 시 경력환산율표 유사경력 중에서 그밖의 경력으로 교육부장관이 인사혁신처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경력은 30퍼센트를 적용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교육공무원의 호봉획정에 관한 사항의 최종 결정은 누가하나요?
교육,청소년 > 교육 > 학교
답변수 : 1 | 2020.08.07 질문 작성됨

교육공무원 호봉획정시 경력환산율표의 적용 등에 관한 예규상 대학원에서 학위취득 경력의 적용에 대한 질의 드립니다.

공무원보수규정에 근거한 [교육공무원 호봉획정시 경력환산율표의 적용 등에 관한 예규(교육과학기술부 예규, 2012. 2.)]의 경력환산율표 적용 기준[별표1]의 연구경력(대학원에서 학위취득 경력)적용에 대한 질의를 드립니다.
교육,청소년 > 교육 > 학교
답변수 : 1 | 2020.08.07 질문 작성됨

교육공무원 호봉획정 시 경력환산율표 유사경력 중에서 그밖의 경력으로 교육부장관이 인사혁신처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경력은 무엇을 말하나요?

교육공무원 호봉을 획정할 시 경력환산율표 유사경력 중에서 그밖의 경력으로 교육부장관이 인사혁신처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경력은 30퍼센트를 적용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대상기관과 대상경력은 어떻게 되나요?
기업.자영업 > 스타트업‧창업 > 중소‧벤처기업
답변수 : 1 | 2019.08.14 질문 작성됨

월급 40만 원을 받으며 하루 7 -8시간씩 고시원 총무일을 1년 넘게 한 고시원 총무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요?

월급 40만 원씩을 받으며 하루 8시간씩, 자기 공부를 하면서 틈틈이 총무일을 보는, 고시원 총무로 1년 넘게 근무한 자들 A, B의 경우에 있어, 다음 사실이 인정될 때, A, B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가요? ① 이 사건 고시원에는 총무의 일과시간 별 업무정리표와 개별 업무 정리표(이하 ‘일과표 등’이라 한다)...
노동,복지 > 근로‧임금 일반 > 기타
답변수 : 1 | 2019.08.28 질문 작성됨

회사의 소속이 변경될 시 육아휴직이 가능한가요?

지방국립대 기성회 직원으로 7년 정도 근무했고, 현재 3세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기성회에서 퇴직하고 지방국립대에 신규 채용된 다음에 육아휴직을 신청할 경우, 신규 채용 후 1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소속이 변경되었을 뿐, 같은 업무를 수행중이라면, 육아휴직을 허용해야 하나요?
기업.자영업 > 스타트업‧창업 > 투자,IPO등
답변수 : 1 | 2019.08.28 질문 작성됨

근로계약 시 소정근로시간을 범위적으로 정할 수 있나요?

저는 단시간 근로자로 회사와 근로계약 체결 시 근로일 및 근로시간을 회사가 정한 스케쥴 표에 따른다는 합의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를 이유로 회사는 저와 사전협의 없이 매 주 스케줄 표를 1일 2-5시간 범위 내에서 단독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근로일별 시간의 정함 없이 사업자의 업무량에 비추어 1일 2-5시간 등으로 소정근로시간을...
관련된 질문이 없으신가요? 다양한 분야의 변호사가 신속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